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취득 방법은 최종학력(고졸, 전문대졸, 대졸)에 따라 경로가 다소 다르지만, 공통적으로 전문학사 이상의 학력과 사회복지사 2급 관련 17과목(현장실습 포함) 이수가 필수입니다. 2025년 기준 각 학력별 취득 절차를 아래와 같이 자세하게 정리합니다.
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취득방법 (고졸, 전문대졸,대졸)
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취득방법
1. 고졸(고등학교 졸업자)
- 자격요건:
- 전문학사(2년제) 이상의 학력 필요
- 사회복지사 2급 교과목 17과목(이론 16과목+현장실습 1과목) 이수 필수
- 취득방법:
- 학점은행제(국가평생교육진흥원) 이용
- 사회복지학 전공 과정(전공 45학점, 교양 15학점, 일반 20학점 등 총 80학점 이수)
- 이수 과정에서 동시에 사회복지사 2급 필수/선택 17과목(51학점)도 함께 이수
- 사회복지현장실습 160시간 필수(실습 인정기관에서 진행)
- 모든 학위·과목 이수 후 학위신청/자격신청 → 발급
- 학점은행제(국가평생교육진흥원) 이용
- 기간:
보통 1년 6개월~2년(3~4학기), 온라인 학점제 병행 및 자격증, 독학사 이수로 단축 가능 - 포인트:
반드시 전문학사학위를 받아야 자격증 신청 가능. 학점은행제에서 전문학사와 2급 이수 동시진행 권장.
2. 전문대 졸업(2년제 이상)
- 자격요건:
- 이미 전문학사 또는 그 이상의 학위를 보유
- 사회복지사 2급 필수/선택 17과목(현장실습 포함) 이수
- 취득방법:
- 온라인/오프라인 평생교육원, 사이버대 등에서 17과목 수강
- 필수 이론 16과목 + 현장실습 1과목(160시간)
- 학점은행제 등록 및 학점인정신청,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발급
- 온라인/오프라인 평생교육원, 사이버대 등에서 17과목 수강
- 기간:
약 1년~1년 6개월(최대 3학기), 온라인 수업 이용 시 단축 가능 - 포인트:
기존 학위로 학력 충족. 17과목만 별도 이수하면 자격조건 완료.
3. 대졸(4년제 졸업자)
- 자격요건:
- 학사(4년제) 학위 이상 소지자
- 취득방법:
- 사회복지사 2급 교과목(16과목+현장실습 1과목, 총 17과목) 추가 이수
- 사회복지학과 졸업자: 대부분 요건 자동 충족
- 비전공자: 평생교육원 등 통해 교과목만 집중 이수하면 됨
- 조건 충족 후 학점은행제에서 자격신청
- 사회복지사 2급 교과목(16과목+현장실습 1과목, 총 17과목) 추가 이수
- 기간:
보통 1년~1년 6개월(14~17과목만 이수), 온라인 병행 시 기간 단축 - 포인트:
이미 학력요건 충족, 17과목만 이수하면 별도 학위 없이 자격증 발급.
공통사항(필수)
- 사회복지현장실습(1과목, 160시간):
필수과목 및 일부 선택과목 선이수, 정해진 실습기관에서 진행 - 자격증 신청:
모든 요건 이수 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'학습자등록 및 학점인정' →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신청/발급
주요 이수 과목(2025년 기준)
- 필수 10과목: 사회복지학개론, 인간행동과 사회환경, 사회복지실천론, 사회복지실천기술론, 사회복지정책론, 사회복지행정론, 사회복지법제와실천, 사회복지현장실습, 지역사회복지론, 사회복지조사론
- 선택 7과목: 노인복지론, 아동복지론, 여성복지론, 장애인복지론, 의료사회복지론 등(기관마다 일부 상이).
TIP
- 온라인 이수 가능(이론), 실습은 반드시 현장 필수
- 학점은행제, 사이버대, 평생교육원 등에서 모두 과목 개설
- 고졸자는 '전문학사+17과목' 두 조건을 반드시 모두 충족해야 하므로 처음부터 학점은행제 등록 후 담당자 상담이 효율적
- 준비기간(최단 1년~최장 2년) 및 비용, 이수방법 등은 기관별로 상이, 맞춤 플랜 필요
사회복지사 2급은 온라인 강의와 학점은행제 병행으로 충분히 준비 가능하며, 실습 필수, 신청기관·기간·과목 등 개별 상담을 통해 구체적 일정 설계가 가장 효율적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