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65세이상 노인 혜택 총정리 (25년)

by 니니부자 2025. 8. 1.

65세 이상 노인이 받을 수 있는 의료, 치과, 교통비, 통신비, 연금, 비과세 혜택이 궁금해 검색하셨나요?
건강관리 지원부터 대중교통, 경제적 혜택까지 한눈에 확인하고 싶어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.
이 글에서는 실질적으로 누릴 수 있는 2025년 최신 노인 복지·지원 제도를 항목별로 쉽게 안내해드립니다!

65세이상 노인 혜택 총정리

1. 의료·치과 혜택

  • 무료 예방접종
    • 독감: 매년 1회 무료
    • 폐렴구균(23가): 생애 1회 무료
    • 일부 지자체: 대상포진 등 추가 접종 지원
  • 건강검진
    • 만 66세에 1회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무료 제공
    • 치매 조기검진, 고혈압·당뇨·골다공증 검사(여성 60세 이상 무료 골밀도 검사 추가 예정)
  • 치과 혜택
    • 임플란트: 65세 이상 1인당 2개까지 건강보험 적용, 본인 부담률 30%로 인하
    • 틀니: 보험 적용으로 본인 부담금 약 30%, 기초생활수급자 10% 이하. 상·하악별 제한 없이 가능
    • 치석 제거: 연 1회 무료

2. 교통비 지원

  • 지하철/시내버스 무료
    •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 지하철 전 구간 무료
    • 일부 지역(서울 등): 버스 무료 또는 50% 할인
    • 일부 시·군: 농어촌 버스, 택시비 지원(지역별 상이, 주민센터 확인)
  • 기차·고속버스 등 교통 할인
    • KTX, SRT 등 열차: 평일 30~50% 할인
    • 일부 항공권: 10~20% 할인(노인 우대 운임)

3. 통신비 할인

  • 월 최대 11,000~12,100원 감면
    • 65세 이상 어르신 모두 신청 가능
    • 기초연금,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은 추가 할인(월 최대 26,000원)
    • SKT/KT/LGU+ 및 알뜰폰까지 포괄 적용. 신청은 각 통신사 대리점, 주민센터에서 가능

4. 연금(기초연금) 및 소득공제

  • 기초연금
    • 2025년 기준:
      • 단독가구 월 최대 343,510원
      • 부부가구(2인) 각각 약 292,000원, 합산 최대 584,000원
      • 소득인정액 단독 228만 원, 부부 364만8천 원 이하일 때 지급
  • 국민연금
    • 국민연금과 병행 수급 가능(단, 소득기준 충족 필요)
  • 근로소득 공제
    • 만 65세 이상 근로소득은 월 최대 56만 원까지 소득인정액에서 제외, 연금 수급 기회 확대

5. 비과세 혜택

  • 비과세종합저축
    • 만 65세 이상이면 2025년 12월 31일까지 가입 시 저축 원금 5천만 원 이하의 이자와 배당소득에 대해 소득세가 비과세
    • 은행·저축은행·공제회 등 다양한 금융기관 취급, 가입 시 비과세 특별 신청 필요
  • 기타 세금 공제
    • 종합소득세 경로우대공제 등 추가 공제 가능(종합소득 1인 150만 원, 부부 300만 원 경감 등)

요약

  • 65세 이상은 무료 건강검진·예방접종, 치과(최대 70% 보장), 지하철·버스 무료·할인, 통신요금 월 최대 12,100~26,000원 감면 등의 다양한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
  • 기초연금(최대 34만3,510원), 비과세 저축(5천만 원 한도) 등 경제적인 지원도 병행되니, 해당 연령에 도달했다면 주민센터·금융기관·통신사 방문 또는 온라인에서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
지역·세부 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니, 가까운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, 정부24, 통신사 등 공식 창구에서 1:1로 확인하면 더욱 정확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!